"믿을 곳 하나 없네" 불성실공시법인 올들어 66곳 지정

"믿을 곳 하나 없네" 불성실공시법인 올들어 66곳 지정

아주경제 2025-07-04 16:44:50 신고

[사진=연합뉴스]

올해 들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상장사가 66곳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법개정과 함께 자금조달 계획 철회, 자회사 상장 연기, 계약 정정 지연 등 기업 공시의 불투명성이 심화되며 시장 전반의 신뢰도 저하가 우려된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상장사는 총 66개사로 집계됐다. 2023년 동기 52건, 2024년 동기 63건에 이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간 기준으로도 2023년 97건, 2024년 132건 대비 각각 68%, 50% 수준을 기록 중이다. 이같은 속도라면 올해는 작년 건수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로 공시된 건수는 총 85건(지정 법인 포함)이며 지난 3일 태광산업, 한진, 한성기업이 동시에 지정 예고됐다.

 

태광산업은 공정공시 미이행, 자사주 및 교환사채 관련 공시 지연이 문제로 지적됐으며, 한진은 단일판매 공급계약 정정공시를 누락했기 때문이다. 한성기업의 경우 기존 공시 번복이 주요 사유다.

 

앞서 진원생명과학은 4월30일 이사회에서 결정한 유상증자를 5월29일 철회하면서, 지난달 30일 공시 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거래소는 진원생명과학에 벌점 5점과 과태료 5000만 원을 부과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의 불성실공시 지정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시장에서는 유동성 경색과 기업의 자금조달 전략 수정, 외부 투자자 유치 실패 등이 공시 번복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도 잇따른 공시 번복과 지연 사례가 시장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진단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계획 변경 자체보다, 투자자에 대한 정보 전달이 적시에 이뤄지지 않는 점이 불성실공시가 개선돼야할 이유”라며 “일정 변경은 불가피할 수 있으나,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공시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융당국 및 유관기관에서도 공시 체계 정비를 위한 심사 기준 강화와 양식 개편을 검토 중이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