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가동 방법에 따라 전기요금 달라져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으로 추가혜택
무더위가 일찍 찾아온 올해, 많은 가정에서 에어컨 사용에 따른 전기요금 부담을 걱정하고 있다.
하지만 에어컨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사용 방법을 알면, 시원하게 여름을 보내면서도 전기요금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효과적인 에어컨 사용법과 전기요금 절감 방안을 자세히 살펴보자.
에어컨 종류별 효율적인 사용법
한국전력의 분석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여름철 주택용 전력 사용량은 봄철 대비 월평균 61%(152kWh) 증가하며, 이에 따른 전기요금은 64%(2만9000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가정용 및 소상공인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3분기 이후 동결된 상태지만, 폭증하는 냉방 수요로 인해 올여름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에어컨은 실외기 가동 방식에 따라 ‘정속형'(구형)과 ‘인버터형'(신형)으로 구분된다. 2011년을 기준으로 이전 제품은 대부분 정속형, 이후 제품은 인버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두 종류의 에어컨은 각각 다른 사용법이 권장된다.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 설정온도 도달 시 실외기가 자동으로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면서 전력 사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목표 온도 도달 후에는 약 2시간마다 수동으로 가동을 중단하는 것이 전력 절감에 효과적이다.
반면 인버터형 에어컨은 연속 운전이 더 효율적이다. 설정 온도까지는 강운전을 하다가, 이후 약운전으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낮은 온도로 설정하여 빠르게 냉방한 후, 적정 온도인 26도로 조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문가들은 “몇 가지 작은 습관만 바꿔도 한 달 전기료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구체적인 실천법을 권한다.
우선 가장 기본은 적정 온도 유지다. 권장 냉방 온도는 26도로, 24도로 설정했을 때보다 2시간 가동 기준 전력 사용량을 약 30%가량 덜 쓴다.
또 4인 가구가 하루 2시간씩만 사용 시간을 줄여도 한 달에 34.5kWh를 아낄 수 있고,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약 9100원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요한 건 문을 닫고 냉방하기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문을 열어둔 채 에어컨을 켜면, 닫았을 때보다 전력 소비량이 최대 4.4배까지 치솟는다.
집안에 시원한 공기가 퍼지길 바라며 문을 열어두는 건 오히려 전기료만 낭비하는 셈이다. 반드시 방문과 창문을 닫고 냉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보조 냉방기기 활용이다.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함께 틀면 차가운 공기가 집안 구석구석까지 빠르게 순환해 더 시원하게 느낄 수 있다.
이 덕분에 에어컨 설정 온도를 높여도 충분한 냉방 효과를 볼 수 있다. 여기에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햇빛을 차단해 집 안의 열기를 낮추는 것도 전력 절감에 도움이 된다.
여름철(7-8월)에는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이 완화되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200kWh까지는 1단계, 400kWh까지는 2단계, 그 이상은 3단계로 구분되지만, 여름철에는 300kWh, 450kWh, 450kWh 이상으로 조정된다.
한전의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면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직전 2년 동월 평균 사용량 대비 3% 이상 절감 시 kWh당 30~100원의 캐시백을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에어컨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사용 방법을 실천한다면, 시원한 여름을 보내면서도 전기요금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무조건적인 절약보다는 스마트한 사용이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Copyright ⓒ 파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