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난 금융권 관계자들은 ‘상인의 현실감각’으로 개편 실익을 묻는다.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불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의 사태와 같은 큰 파도가 닥쳤을 때 오히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갈 수 있다는 우려다. 업계 최대현안인 가계부채 관리만 해도 그렇다. 기재부, 금융위, 금감원, 한은에 서울시, 국토부까지 합심해도 해답을 찾기 어려운데 조직이 쪼개지면 더 난제가 된다. 각 기관이 가진 정책 목표와 우선순위가 다른 만큼 주도권 다툼이 커질 수 있다. 고양이가 다투는 동안 쥐가 차분히 앉아 기다려주지 않는다.
대통령의 정책공약 달성이라는 목표지향적 관점에서도 금융당국 개편을 검토해봐야 한다. 장기 연체자 채무조정부터 금융계 인공지능(AI) 육성이 과연 새로운 체제에서 더 유리한 것인지 그 가능성과 시나리오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결정 전에 시장 참여자들의 목소리에도 충분히 귀 기울여야 한다. 국내 금융사의 가장 큰 리스크는 ‘규제 리스크’라고 한다. 규제기관이 더 늘수록 국내 금융사의 리스크는 커지고 기업가치제고(밸류업)는 속도가 늦춰질 수밖에 없다. 좋은 밥상 차리는 데 셰프의 수는 중요치 않다. 대통령의 먹사니즘이 금융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었으면 한다.
|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