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40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이어지며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전기요금 부담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여름철 4인 가구의 전력 사용량은 봄철보다 평균 61% 증가하며, 전기요금은 평균 64%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많은 가정에서는 전기료를 아끼기 위한 에어컨 활용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에어컨 종류 따라 달라
먼저, 에어컨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인 사용법이 달라지므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기가 정속형인지 인버터형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1년 이전 출시된 정속형은 온도 유지 시 실외기가 꺼졌다 다시 켜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력을 많이 소모하므로 필요할 때만 작동하는 것이 낫다.
반면, 인버터형은 희망 온도에 도달한 후에도 약한 출력으로 계속 작동해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틀어두는 것이 전기요금 절감에 도움이 된다. 특히 초기에는 빠르게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희망 온도를 낮게 설정하고, 이후 26도 안팎의 적정 온도로 조정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공기 순환
에어컨 단독 사용보다는 선풍기와 병행해 공기를 순환시키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필터와 실외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성능 향상과 전력 절약에 기여한다. 스탠드형 제품은 찬 공기가 아래로 가라앉는 특성을 고려해 바람 방향을 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냉방 모드와 제습 모드 중 어느 쪽이 더 경제적인지는 실내 습도에 따라 달라진다. 습도가 높은 날에는 냉방 모드가 더 효과적이고, 습도가 낮은 경우엔 제습 모드가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가 햇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과열돼 냉방 효과가 떨어지고 전력 소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차광막을 덮거나 주변에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울러 한국전력이 운영하는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도 활용해 볼 만하다. 이 제도는 직전 2년 같은 달 평균보다 3% 이상 전력을 절감했을 경우, 절감한 양에 따라 kWh당 30원에서 최대 100원까지 요금에서 차감해 준다. 이처럼 다양한 방식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기록적인 폭염 속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냉방하면서 전기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뉴스클립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