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철, 쨍쨍한 햇살 아래에서도 빨래가 잘 마르지 않아 옷에서 나는 불쾌한 쉰내에 당황하는 일이 잦다.
뽀송한 옷을 기대하며 건조대를 찾았다가 냄새에 코를 찌푸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현상은 왜 생기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빨래 쉰내 원인
빨래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의 원인은 ‘모락셀라(Moraxella)’라는 세균이다. 이 박테리아는 습하고 따뜻한 여름 환경에서 급속도로 번식하며, 마르지 않은 옷감 속에 침투해 세제 찌꺼기나 인체의 피지 등을 먹고 자란다.
단순히 냄새 문제를 넘어, 면역력이 낮은 어린이나 노인에게는 수막염이나 피부염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섬유유연제가 오히려 냄새 유발
이 같은 쉰내를 방지하려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섬유유연제는 피하는 것이 좋다. 섬유유연제는 천에 수분을 머금게 해 마르는 속도를 늦추고, 이는 곧 세균 번식 환경을 조성하는 원인이 된다.
대신, 베이킹소다나 구연산을 활용하면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탁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식초 한두 스푼을 더하면 산 성분의 살균 작용이 세균을 억제하고 냄새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쉰내 방지하는 방법
세탁 후에는 통풍이 잘되고 햇빛이 드는 곳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옷들 사이 간격을 충분히 두고 널어야 공기가 잘 통해 건조 시간이 단축된다. 신문지를 빨래 사이에 끼우거나, 선풍기 혹은 제습기를 이용하는 것도 건조에 효과적이다.
특히 면 소재의 옷은 섬유 특성상 냄새가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덴마크 생명공학 연구팀의 실험에서도 면 제품이 폴리에스터보다 냄새가 강하게 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은 온수를 이용한 세탁이다. 미국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응용 환경 미생물학’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탁 온도를 40도에서 60도 사이로 유지할 경우 냄새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제거 효과가 크다
는 결과가 도출되었다.여름철 빨래에서 불쾌한 냄새를 막기 위해서는 세균 번식을 막는 환경을 조성하고, 천연 재료를 활용한 세탁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Copyright ⓒ 뉴스클립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