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섹터에 13억 달러 유입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올해 상반기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섹터에 13억 달러 유입

경향게임스 2025-07-14 11:12:36 신고

총 13억 달러(한화 약 1조 7,927억 원) 이상의 자본이 올해 상반기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시장 파생 생태계에 몰렸다는 분석이다. 이달 말 기준 인공지능 섹터 관련 dUAW(일일 고유 활성 지갑) 수는 450만 개로 집계됐다. 블록체인 업계에서 dUAW는 사용자 수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쓰인다. 
 

사진=edueasify 사진=edueasify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인 댑레이더(DappRadar) 분석진은 자체 보고서를 통해 지난 1월 1일부터 6월 24일까지 인공지능에이전트(AI) 생태계에 13억 9천만 달러(한화 약 1조 9,170억 원)가 조달됐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에이전트는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특정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하는 기술로, 대표적인 구성 항목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 등이 있다. 
댑레이더에 따르면 지난 2024년 11월 이후 ‘버추얼프로토콜’ 인공지능에이전트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는 1만 7천 개 이상의 인공지능에이전트가 출시됐다. 
버추얼프로토콜은 코딩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만들고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맞춤형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고객 서비스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인공지능에이전트 강세에 상위 범주인 인공지능 섹터의 블록체인 시장 점유율도 9%에 19%까지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 발간 시점인 6뭘 말 기준 블록체인 시장 내 인공지능 섹터 점유율은 20%로 집계된 게임과 유사한 수준에 도달했다. 
 

총 13억 달러(한화 약 1조 7,927억 원) 이상의 자본이 올해 상반기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시장 파생 생태계에 몰렸다(사진=댑레이더) 총 13억 달러(한화 약 1조 7,927억 원) 이상의 자본이 올해 상반기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시장 파생 생태계에 몰렸다(사진=댑레이더)

분석진은 인공지능에이전트 생태계가 디파이코파일럿, 소셜에이전트, 자율게임어시스턴트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성장했다고 전했다. 
디파이코파일럿은 인공지능 모델이 블록체인 기술 및 가상화폐 기반 금융(디파이, DeFi) 시장에서 수익률이 높은 기회를 찾아준다. 
소셜에이전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관리하거나, 메시지 등의 상호 작용에 응답하고 반응한다. 
자율게임어시스턴트의 경우 게임 이용자 행동을 학습한 인공지능 캐릭터가 콘텐츠 가이드 또는 상대 역할을 해준다.
글로벌 시장에서 인공지능에이전트 사용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26.2% 점유율의 유럽으로 드러났다. 아시아, 북미, 남미는 순서대로 유럽을 뒤쫓았다. 아시아, 북미, 남미의 인공지능에이전트 시장 점유율은 순서대로 22%, 15.9%, 2.5%로 집계됐다. 나머지 33.2%는 가상사설망(VPN) 등에 기반한 기타(Other)로 분류됐다.

Copyright ⓒ 경향게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