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을 약물로 만드는 박테리아가 발견되다

폐플라스틱을 약물로 만드는 박테리아가 발견되다

ㅍㅍㅅㅅ 2025-07-16 12:36:38 신고

한 박사 과정 학생이 월리스 연구소에서 대장균 배양액의 성장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출처: 에든버러 대학교

인류는 매년 막대한 양의 플라스틱을 한 번 쓰고 버리지만, 그 가운데 재활용되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수명을 다한 플라스틱은 대개 소각되든지 매립됩니다. 그보다 더 나쁜 경우는 제대로 수거되지 않고 버려져서 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환경 오염 물질이 되어 인간과 생태계를 함께 위협합니다.

​과학자들은 플라스틱을 좀 더 유용한 물질로 만드는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접근법은 폐 플라스틱을 다시 가공해 새로운 플라스틱으로 만들거나 석유 화학 제품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보통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결과물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어 상업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새로운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영국 에딘버러 대학의 연구팀은 유전공학적으로 변형된 대장균을 이용해 가장 흔한 플라스틱 쓰레기 중 하나인 PET를 분해해 흔히 사용되는 약품 중 하나인 파라세타몰(Paracetamol, 상품명 타이레놀)로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대장균들은 테레프탈릭산 (terephthalic acid)이라는 물질을 분비해 PET를 분해한 다음 이를 섭취해 세포 안에서 로쎈 재배열(Lossen rearrangement)이르는 반응을 통해 para-aminobenzoic acid (PABA)라는 물질을 최종 합성합니다. PABA는 대장균이 영양분으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썩지 않는 골치 아픈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연구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장균이 PABA를 이용해 파라세타몰을 합성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이 유전자 변형 대장균은 심지어 부산물의 90%가 파라세타몰일 정도로 합성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이런 식으로 유전 공학적으로 좀 더 유용한 최종 산물을 만들어 내는 세균을 미니 화학 공장으로 활용한다면 다른 유용한 최종 물질을 좀 더 손쉽게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최종 산물의 단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과연 이런 접근법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원문: APERTURE LABORATORIES


참고

Copyright ⓒ ㅍㅍㅅ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