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물질’ 이종합성 난제 풀었다

‘2차원 물질’ 이종합성 난제 풀었다

금강일보 2018-11-16 04:00:00 신고

대면적 단결정 hBN의 산화방지막, 수분투과방지막 응용 실험 결과, 약 0.3㎚ 두께의 박막임에도 금속의 산화, 공기 중 수분 투과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모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이종합성 난제를 풀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이영희 연구단장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수민 박사, 동국대 김기강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두 가지 원소인 질소와 붕소로 구성된 2차원 물질 ‘질화붕소’를 단결정으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6일 자로 게재됐다.

질화붕소(hBN)는 그래핀과 같은 육각형 원자구조로 탄소 대신 붕소와 질소로 일어진 판상 구조를 갖는 소재다.

2차원 물질들은 전기적인 특성,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차세대 전자 소자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또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아 소자의 보호 장벽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그 중 질화붕소는 2차원 물질 중에서 유일하게 절연 특성이 있어 투명한 유연 전자소자의 절연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질화붕소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결정 형태로 합성해야 하는 난제가 남아있다. 기존 합성법으로 개발된 대면적 질화붕소는 다결정 형태로 합성돼 질소와 붕소의 원자결합이 불완전하고 절연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액상 금 표면 위에서 질화붕소의 결정립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가 줄맞춤’ 현상을 이용,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합성했다. 이 방법은 박막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단결정 형태를 합성할 수 있다.

매끄러운 액체 상태의 금 표면 위에서 질화붕소의 원료 물질을 쉽게 흡착?이동시켜 크기가 균일한 원형의 질화붕소 결정립을 합성했다. 각각의 질화붕소 결정립이 임의로 이동하다가 결정립의 가장자리에 있는 질소와 붕소 사이에서 전기적인 상호 인력이 유도되고 그 결과 결정립이 스스로 줄맞춰 배열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 제작된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기판으로 활용해 반금속성 소재인 그래핀, 반도체성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등 다른 2차원 소재들도 단결정으로 합성했다. 나아가 그래핀과 질화붕소가 층을 이루는 이종 적층구조를 합성했다.

이번 연구는 이종 원소로 구성된 2차원 소재를 대면적 단결정으로 합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투명 유연 전자 소자 및 가스 배리어, 센서, 필터 등의 개발에 혁신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정의 기자 justice@ggilbo.com

Copyright ⓒ 금강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