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예술가 비평 모임 #루이즈더우먼

여성 예술가 비평 모임 #루이즈더우먼

엘르 2021-04-17 17:00:00 신고


왼쪽부터 ‘루이즈 더 우먼’의 임유정, 이정, 이도현, 오연진.


왼쪽부터 ‘루이즈 더 우먼’의 임유정, 이정, 이도현, 오연진.



지난해 8월 ‘루이즈 더 우먼(Louise the Women)’ 이름으로 출범했다
연진 여성 예술가로 이뤄진 비평 모임을 만들고 싶다는 아이디어가 시작이었다.
유정 운영진 9명에서 시작해 현재 45명 규모다. 90년대 생이 주를 이룬다.
도현 2016년 ‘#미술계 내 성폭력’ 운동이 있던 시기에 학교를 졸업했거나 신진 작가로 발돋움했던 세대다.

단체 소개 글에서 ‘세이프 존 내 협업과 교류’를 명시했는데
이정 멤버십 서약서에 성폭력 방지 조항이 필수로 들어 있다. 성명을 내거나 성평등 특강을 진행하기도 한다. 성별 위계가 존재하지 않으니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

지난 2월 서울과 부산에서 전시 〈오늘들〉을 열었다
이정 부산의 전시 방명록은 정말 정성스러운 편지 같았다. 스캔해서 PDF로 보관 중이다. 서울 친구들이 신기해 했다(웃음).
도현 35명의 작가가 참여한 만큼 이 커뮤니티에서 어떤 교류가 일어났는지 보여주는 것도 중요했다. 반년간 우리가 나눈 의견들을 ‘노션’에 정리해 공개하고, QR 코드로 스캔해 작품에 대한 코멘트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한 이유다. 우리가 얼마나 ‘자생적으로’ 뭔가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의심도 해소됐다.
연진 지금 2기를 모집 중이다. 포트폴리오 리뷰, 전시 프로그램 등 감정적 교류뿐 아니라 새로운 이력을 만드는 일까지 이어지길 바란다.
유정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전시에 필요한 영상을 제작했다. 짧은 전시 기간 동안 정말 많은 관객이 찾았다는 것도 고무적이다.

활동을 통한 긍정적 경험
도현 한 마디로 기회를 내가 만들고, 성취한다는 느낌이 가장 크다.
유정 계속 혼자 준비하고, 지원하는 상황에서 내가 ‘쪼그라들’ 때도 있었다. 작가들과 작업 이야기를 하고 서로를 북돋워주는 과정에서 힘을 얻었다.
연진 통상적으로 개인이 파편화된 미술계의 분위기상 ‘시스템’이 부재한다는 생각, 자유로운 동시에 개인이 보호받지 못한다는 생각을 했다. ‘시스템’ 차원의 고민을 하게 된 게 개인적 변화다.
이정 내 그림을 본 갤러리 관계자의 제안으로 개인전을 하게 됐다. 뉴욕의 아티스트 에이미 실먼과의 비대면 토크도, 개인이 아닌 '우리'의 존재에 흥미를 보인 덕분에 성사되지 않았나 싶다.

각자가 생각하는 우리의 ‘오늘들’은 어떤 풍경인가
유정 ‘불닭로제엽기떡볶이’처럼 온갖 유행하는 것들이 뒤섞인 음식. 거부하기엔 너무 매혹적이다.
이정 아주 세밀한 초상을 그리다 보면 피부 결이나 털 모양이 지형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우리의 존재 자체가 공통 언어이고 번역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도현 ‘오늘은 무엇이다’ ‘지금 청년은 이런 모습이어야 한다’ 같은 정의를 과하게 주입받은 건 아닐까. ‘오늘’에 대한 각자의 의미를 묻고, 그 의미를 갱신하고 싶다.
연진 풍경처럼 눈에 보이는 것, 상징 언어에 이제는 큰 기대가 없다. 그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게 있다는 걸 알아서다. 이제는 이미지보다 구조 차원에서 상상하고자 한다.


에디터 이마루 사진 김태구 웹디자이너 한다민

Copyright ⓒ 엘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