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움직이는 부자들의 선택_돈쓸신잡 #73

전 세계를 움직이는 부자들의 선택_돈쓸신잡 #73

엘르 2022-11-24 18:29:03 신고

Unsplash


Unsplash


'미스터 에브리싱'(Mr. Everything)이라는 별명을 가진 남자가 있다. 이 별명이 붙은 이유는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의 이름은 무함마드 빈 살만이다. 사실상 사우디아라비아 최고 권력자인 빈 살만의 재산은 만수르의 10배 수준이다. 그의 개인 재산은 대략 2800조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 상장사들의 몸값을 모두 합하면 대략 2000조원이다. 즉, 대한민국 모든 기업의 몸값을 더해도 빈 살만 개인 자산에는 못 미친다.
빈 살만이 지난주 한국을 찾았다. 당연히 그의 모든 행보는 화제가 됐다. 본인과 수행원이 묵을 호텔로 소공동 롯데호텔을 골랐다. 400실을 통째로 예약했다. 호텔 객실에서 우리나라 대기업 총수 8명과 동시에 미팅을 진행했다. 빈 살만은 총수 한 명 한 명에게 "우리와 무슨 사업을 하고 싶나요?"라고 물어본 것으로 알려졌다. '미스터 에브리싱'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빈 살만은 왜 한국에 왔을까? 왜 우리나라 대기업 총수와 미팅을 잡았을까? 경제의 본질은 결국 돈의 흐름이다. 돈이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려면 부자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선택을 내리는지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거대 자본을 가진 사람들은 현재 어떤 일을 추진하고 있는가. 그 안에서 얻을 수 있는 투자 아이디어를 정리해 봤다.

{ 네옴시티에 공들이는 빈 살만}

Unsplash


Unsplash


빈 살만이 한국을 찾은 이유는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참여할 한국 기업을 물색하기 위해서다. 네옴시티는 석유 중심 경제 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 빈 살만이 구상한 도시 프로젝트다. 척박한 사우디 사막 한가운데 서울 면적 44배에 달하는 스마트 시티를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규모로만 치면 지구 역사상 최대 규모 인프라 사업이다. 사업비만 최소 640조 원에 달한다. 목표 완공 시점은 2030년이다. 빈 살만은 이 새로운 도시에 인구 990만 명을 수용할 예정이다.
이 미래 도시의 특징은 '탄소제로'다. 태양광, 풍력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로만 도시를 운영할 계획이다. 전 세계에 석유를 팔아 부를 쌓은 사우디 입장에선 국가의 DNA 자체를 바꾸는 중요한 사업이다. 친환경 도시답게 이 도시는 아예 자동차도 다니지 않는다. 그 대신 지하에 터널을 뚫어 고속철도가 도시 전체를 관통하게 된다. 이미 터널 공사는 시작됐고,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투자 포인트
네옴시티 청사진만 보면 마치 SF 영화에 나오는 도시처럼 비현실적이다. 사막 한가운데 100% 친환경 에너지로만 돌아가는 인구 900만 명의 신도시를 만든다는 개념은 보통 사람의 상상력으론 헤아리기 어렵다. 도시가 아니라 하나의 문명을 새롭게 창조하는 스케일이다. 그래서 전 세계적인 도시 전문가들 상당수가 네옴시티의 성공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린다. 하지만 중요한 건 석유 패권을 가진 사우디마저 탈석유 시대를 대비하며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투자에 운명을 걸었다는 점이다. 이 흐름은 사실상 정해진 미래다. 미국 역시 정부 차원에서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며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당연히 개인들 역시 이런 메가 트렌드에 투자할 수 있다. 예컨대,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프라 정책 수혜 기업을 한방에 투자하는 ETF 상품인 PAVE가 대표적이다. 이 밖에도 인프라 투자를 테마로 한 ETF 상품은 많다. 이 종목들은 악재가 가득했던 올해 증시 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

{ TSMC 주식을 대량 매수한 버핏}

Unsplash


Unsplash


미국에선 주식 운용 자산이 1억 달러 이상인 투자 기관은 의무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공개해야 한다. '투자의 신'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 역시 최근 3분기 투자 내역을 공개했다. 버핏의 선택 중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TSMC 투자다. 버핏은 3분기에만 TSMC 주식을 41억 달러 사들였다. 3분기 동안 전체 투자 금액이 90억 달러였으니, 절반은 TSMC에 베팅한 것이다.
반도체 분야엔 여러 섹터가 있다. 반도체 칩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팹리스라고 부른다. 이렇게 설계된 반도체 칩을 위탁 생산해 주는 기업은 파운드리다. 삼성전자와 인텔은 팹리스와 파운드리를 동시에 보유한 기업이다. 반면 오직 파운드리 한 우물만 판 TSMC는 이 분야에서 압도적인 기술력을 갖추며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50% 이상을 차지한 괴물 같은 기업이다.
올해 경기 침체의 여파로 TSMC의 주가는 꽤 많이 떨어진 상태다. 물론 다른 반도체 기업의 주가 역시 큰 조정을 받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버핏은 TSMC에 베팅을 했다. 전 세계가 매번 버핏의 결정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일종의 경제 지표이기 때문이다.

투자 포인트
투자 업계에선 버핏의 이번 결정을 두고 조심스럽게 반도체 경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자율주행, 전기차, AI, 클라우드, 로봇 등 향후 계속 성장할 수밖에 없는 산업 중 반도체가 필요하지 않은 분야는 찾기 힘들다. 현재 파운드리 분야에서 TSMC를 따라잡기 위해 무섭게 칼을 가는 기업이 바로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현재 22조 원을 투자해 미국 텍사스에 파운드리 생산시설을 짓는 중이다. 이 밖에도 인텔, 마이크론과 같은 경쟁 기업이 투자 축소 발표를 한 것과 달리 삼성전자는 정반대로 반도체 투자 확대를 선언했다. 경쟁 기업이 반도체 경기 한파로 몸을 사릴 때 오히려 삼성전자는 공격 태세를 갖춘 것이다. 당연히 근거 없는 자신감이 아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만 120조 원이다.

.


.



'돈 되는 쓸모 있는 잡학 사전' #돈쓸신잡 더 보기



글 조성준

Copyright ⓒ 엘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