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서도 구경거리… 231㎝ 거인, 240년 만에 자유 얻은 사연

죽어서도 구경거리… 231㎝ 거인, 240년 만에 자유 얻은 사연

이데일리 2023-01-22 20:33:10 신고

3줄요약
[이데일리 송혜수 기자] 생전 ‘아일랜드 거인’으로 불리던 한 남성이 사후 240년 만에 소원을 이룰 수 있게 됐다.

영국 런던의 헌터리언 박물관에 전시된 찰스 번 유골. (사진=아일랜드 왕립내과대학(RCPI) 제공)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1일(현지시각) 영국 런던의 헌터리언 박물관이 최근 인기 전시품목 중 하나였던 231㎝ 거구 유골을 더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하면서 그 주인공인 아일랜드의 거인 찰스 번의 사연을 소개했다.

번은 1761년 현재의 북아일랜드 시골 지역에서 말단비대증을 가지고 태어났다. 말단비대증은 성장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손, 발, 코, 턱, 입술 등 신체의 말단이 비대해지는 만성 질환이다.

그는 자신의 큰 키를 이용해 생계를 꾸렸다. 20세이던 1781년 런던으로 건너간 그는 스스로 ‘아일랜드 거인’이라고 소개하며 큰돈을 벌고 유명인이 됐다. 하지만 1783년 2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많은 사람들은 번이 살아 있을 때부터 그의 유골 확보에 관심을 보여왔다. 이에 번은 자신이 죽으면 시신을 무거운 관에 넣어 바다 아래로 가라앉히는 수장(水葬)을 치러 줄 것을 주변에 부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번의 소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해부학자였던 존 헌터는 번의 친구들에게 500파운드를 지불하고 시신을 빼돌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번의 골격은 런던 레스터 광장에 있는 헌터의 저택에 전시됐다. 번의 유골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간 8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헌터리언 박물관의 대표적인 컬렉션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뒤늦게 고인의 뜻이 알려지면서 유지를 거스르는 유골 전시가 윤리적으로 올바른지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최근 박물관 신탁위원회는 수리 작업으로 5년째 휴관 중인 박물관이 오는 3월 재개관할 때부터 더는 번의 유골을 전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헌터리언 박물관의 상급기관인 잉글랜드 왕립의과대학(RCS)의 던 켐프 이사는 “역사적으로 벌어진 일과 헌터의 행동은 잘못됐다”며 “번의 해골을 전시에서 빼는 것이 잘못을 바로잡는 시작”이라고 지적했다.

번의 유골이 앞으로 어떻게 처리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그의 유해를 고향인 북아일랜드로 돌려보내 매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연구를 위해 유골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번의 이야기를 소설로 썼던 작가 힐러리 맨틀은 “이 뼈로 과학이 얻을 수 있는 것은 다 얻었다”며 “그를 영면에 들게 해주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인기 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