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운전자 8명 중 1명은 평소 숙취 운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부터 29일까지 황금연휴로 전국에 차량이 붐빌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운전자들의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대전 대덕구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대전IC 인근 도로.(사진=연합뉴스) |
|
악사손해보험에 따르면 지난해 운전자 1400명을 대상으로 ‘운전자 교통 안전 의식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12%는 전날 음주 여부와 관계 없이 운전대를 잡는다고 답했다.
전날 혹은 새벽까지 술을 마신 후에는 절대 운전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운전자는 전체의 38%에 그쳤다.
숙취 현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전체는 21%, 과하게 술을 마신 다음 날이라면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28%를 차지했다.
특히 숙취 운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분위기는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이 있다고 말한 응답자들 가운데 두드러졌다.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자의 42%는 전날 술을 마셔도 상관없이 운전한다고 답변했다.
다만 음주운전 위험성에 대한 운전자들의 인식은 높았다. 응답자의 88%가 술을 1잔만 마셔도 운전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답했고, 술을 4잔 마신 후 주행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5%가 ‘위험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90%는 음주운전이 교통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겼다. 또 응답자의 92%는 지난 1년간 술을 한잔 이상 마신 뒤 운전대를 잡은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경찰은 숙취 운전에 대한 인식이 낮은 점을 고려해 오는 31일까지 음주운전 특별 단속 기간을 운영한다. 전날 밤 음주 후 술이 덜 깬 상태로 운전하는 숙취 운전 위험이 높은 출근 시간(7~9시), 식사하며 술을 마시는 ‘반주 후 운전’인 점심시간 직후(14시~17시) 위주로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