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근 시장이 8일 화성시청 5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도 예산안과 내년 1월 출범할 특례시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민생경제를 살리는 예산안에 대한 △경제특별시, 화성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 등에 대해 발표했다.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은 △4대 과학기술원 통합연구 거점구축 △화성과학고·마이스터고 설립 △AI 미래도시를 위한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교육의 확대 등이 포함됐다.
정 시장은 “오늘은 화성시 민생경제 살리기의 일환인 2025년 예산과 미래도시 비전으로 『과학기술인재 도시 화성』을 말씀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서게 됐다”면서 “녹록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내일’에 대한 기대감을 살리고,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자극하는 2025년 예산을 편성했다”며 예산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확장과 충전’ 이 두 단어가 바로 내년도 우리시의 살림살이를 상징한다”며 “금년도 대비 3,177억 원이 증가한 총 3조 5,027억 원을 편성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려운 경제상황과 재정여건 속에서도 민생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용자원을 최대한 동원하여 내년도 예산을 확장편성했다”라고 전했다.
정 시장은 ”국가 과학기술인재 미래전략의 핵심거점이자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화성 미래도시 비전으로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을 준비하는 4대 과학기술원 카이스트(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통합 연구 거점 구축 한다. △둘쨰, 화성과학고 ․ 마이스터고 설립을 통한 과학기술인재 특화교육 △셋째, AI 미래도시를 준비하는 시민 ․ 공무원 ․ 초중등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교육확대 등 3대 정책추진을 통해 비전을 실천해 나간다는 방침을 전했다.
Copyright ⓒ 뉴스영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