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반찬으로 멸치볶음을 먹다보면 종종 조그마한 오징어 한 마리가 나올 때가 있다. 오징어라고 하기엔 크기가 너무 작아 새끼 오징어가 딸려온 게 아닐까 싶지만, 사실 그 정체는 '꼴뚜기'다. 이에 대해서 알아본다.
작고 부드러운 미니 오징어 '꼴뚜기'
경남 지방에서는 호래기라고도 부르는 꼴뚜기는 십완목 화살오징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이다. 크기는 성체 기준 60mm 정도로 매우 작고 촉감은 상당히 부드러운데, 이는 연안에 많이 서식하고 이동을 많이 하지 않아 근육이 덜 발달한 탓이다.
몸통은 길쭉하게 생겼고 길이가 폭의 3배 정도 되는데, 전체적으로 좌우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다리의 길이는 몸통의 반 정도 된다.
조선시대 학자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쓴 어류학서 '자산어보'에 따르면, 오징어와 비슷하나 몸이 좀더 길고 좁으며 등판에 껍질이 없고 종이장처럼 얇은 뼈를 가지고 있으며, 선비들은 이를 바다에서 나는 귀중한 고기라 하여 고록어(高祿魚)라고 불렀다고 한다.
꼴뚜기는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서 잡히며, 특히 남해 지역에서 주로 잡힌다. 주로 산란철 서해안으로 들어오는 시기에 잡혀 서천 등지에서 6~7월에 잡을 수 있었는데, 그 시기가 점점 빨라져 최근에는 5~6월에 잡히기도 한다.
볼품없는 생선 아니다… 꼴뚜기의 식재로써의 가치
꼴뚜기는 예로부터 속담이나 여러 표현에 자주 등장하는데, 타인에게 폐를 끼치고 보잘것 없는 이미지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런 표현에 자주 쓰이는 이유는 꼴뚜기가 크기가 작고 생김새도 화려하지 않아 볼품없고 가치가 적은 해산물로 인식된 탓이다.
대표적인 속담으로는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와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뛴다'를 꼽을 수 있다. 또한 재산이나 밑천 따위를 모두 없애고 어렵게 사는 사람을 꼴뚜기 장수라고 칭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이미지와는 반대로 꼴뚜기는 맛이 매우 좋아 각종 요리에 활용하면 맛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식재다.
꼴뚜기는 젓갈을 담그거나 말려서 밑반찬 재료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말린 꼴뚜기는 어포로 먹기도 좋고, 멸치볶음처럼 양념에 졸여 먹어도 좋다.
하지만 가장 좋은 활용법은 찌개나 라면을 끓일 때 넣어주는 것으로, 이러면 국물 맛이 깊고 진해진다. 실제로 80~90년대 삼양식품에서 출시한 몇몇 제품에는 말린 꼴뚜기와 새우가 들어있었을 정도다.
신선하게 먹을 수 있는 산지에서는 회로 먹기도 하는데, 깨끗이 씻은 꼴뚜기를 초장에 찍어 한입에 먹으면 오돌오돌하고 톡톡 터지는 식감과 고소하고 눅진한 맛이 일품이다.
다만 신선도가 떨어질수록 맛 역시 급감하므로 상태가 좋지 않다 싶으면 그냥 끓는 물에 데쳐 먹는 것이 좋다. 일반 오징어에 비해 쫄깃한 맛은 다소 떨어지지만, 입에서 살살 녹는 듯한 부드러운 식감 덕분에 찾는 사람이 많다.
꼴뚜기 먹을 때는 '이것'에 주의하세요
꼴뚜기에는 오메가-3 지방산과 단백질 등 영양분도 풍부해 자주 섭취하면 몸에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심혈관 건강 증진, 면역력 강화, 뇌 기능 개선 등이 있다.
또한 꼴뚜기는 대표적인 저지방 고단백 식품 중 하나기 때문에 체중 관리에도 탁월하며, 철분 역시 풍부해 빈혈 예방과 혈액순환에도 큰 도움이 된다.
단, 꼴뚜기는 기본적으로 해산물이라 나트륨 함량이 상당히 높은 편인데, 라면 등 국물에 넣어 먹을 경우 자칫하면 나트륨 과다 섭취로 고혈압, 심혈관 및 위장 질환 등 질병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염도 조절을 통해 이런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Copyright ⓒ 위키푸디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